-
3분기 업무중복도, 상수도 198%-철도 170%3분기 업무중복도, 상수도 198%-철도 170%
-
[기자수첩]와준 게 어디인가, 칭찬받아 마땅하다[기자수첩]와준 게 어디인가, 칭찬받아 마땅하다
-
새만금개발공사, 김제시와 수변도시 조성 협약새만금개발공사, 김제시와 수변도시 조성 협약
-
국토안전관리원, 건설 안전 챌린지 개최국토안전관리원, 건설 안전 챌린지 개최
-
“풀 베는 엔지니어 사라져야” ENG 계약조건 신설 목소리“풀 베는 엔지니어 사라져야” ENG 계약조건 신설 목소리
-
경기도, 9호선 연장 강동하남남양주선 입찰 준비 속도 'Up'경기도, 9호선 연장 강동하남남양주선 입찰 준비 속도 'Up'
2. 이젠 일본식 분류를 벗어나 건설분야 최고선진국인 미국처럼 《구조, 토목, 건축, 기계설비, 전기설비, 플랜트 》의 6개 분야로 나뉘어야한다
3. 건설의 기초안정성을 따지는 《구조학, 구조공사》를 한국에선 토목과 건축에서 각각 흡수담당한다.
즉 구조기술사 자격은 있는데 독립된 분야가 구축이 안되어 토목이나 건축에 얹혀지낸다
문제는 대학에 구조학과가 없이 구조학을 토목과와 건축과에서 한 과목으로 가르치고 기계과. 전기과엔 없다
4. 구조는 기계설비, 전기설비, 플랜트 공사수행에도 반드시 필요한 독립건설분야이다
5. 건축은 건설의 일부분이다